인터넷뱅킹 없이도 가능한가요? 은행 방문 없이 스마트폰으로 끝내는 통장사본 발급 방법
요즘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창구를 찾지 않아도 웬만한 업무는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중 통장사본 발급은 직장이나 기관 제출용으로 자주 필요하지만, 매번 은행을 가기엔 번거롭지요. 이 글에서는 모바일뱅킹 앱만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통장사본을 발급받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은행 앱마다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흐름과 유의사항만 알면 누구나 어렵지 않게 따라 하실 수 있습니다.
통장사본이 필요한 순간들
통장사본은 단순한 계좌 정보 확인 그 이상으로 사용됩니다.
급여 등록, 정부 지원금 신청, 프리랜서 계약서 작성, 자동이체 설정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필요합니다. 특히 온라인으로 모든 서류를 제출해야 하는 요즘 같은 시대에는 모바일로 빠르게 발급받는 능력이 하나의 생활 기술이 되고 있어요.
통장사본 = 계좌 정보 PDF 또는 이미지
요즘은 실제 종이 통장보다는 ‘계좌 정보가 명시된 이미지나 PDF 파일’이 통장사본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 은행에서는 모바일 앱에서 통장사본 형식의 계좌 확인서를 PDF로 내려받거나, 화면을 캡처해 제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요. 이름, 계좌번호, 은행명이 함께 기재되어 있다면 통장사본으로 인정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바일뱅킹 앱에서 통장사본 받는 일반적인 절차
각 은행마다 경로는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 비슷한 흐름을 따릅니다.
아래 표를 통해 대표 은행의 통장사본 발급 메뉴 위치를 확인해 보세요.
| 은행명 | 앱 명칭 | 메뉴 경로 예시 |
|---|---|---|
| 국민은행 | KB스타뱅킹 | 전체메뉴 > 계좌조회 > 통장사본 |
| 신한은행 | 신한 쏠(SOL) | 계좌관리 > 통장사본 |
| 농협은행 | NH스마트뱅킹 | 조회 > 계좌관리 > 통장사본 |
간혹 ‘계좌 확인서’, ‘계좌정보 보기’ 등으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으니 유사 메뉴명을 확인해 주세요.
통장사본 PDF 저장 vs 화면 캡처, 뭐가 좋을까?
은행 앱에서 제공하는 통장사본은 대부분 PDF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공식적인 제출용이라면 PDF 저장 후 메일 첨부나 프린트하는 것이 좋고, 개인 제출용이라면 화면 캡처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이름과 계좌번호, 은행명이 모두 보이도록 캡처해야 해요.
통장사본 발급 시 주의할 점
-
본인 계좌인지 확인 후 제출해야 합니다.
-
개인정보 노출에 유의해 주세요.
-
사용처에 따라 원본 제출 요구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PDF 파일명에 이름이나 계좌번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실수 없이 안전하게 통장사본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통장사본과 계좌개설확인서는 다를까?
비슷해 보이지만 약간 다릅니다.
통장사본은 계좌 정보만 담긴 형태이고, 계좌개설확인서는 언제 어디서 계좌를 만들었는지를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관공서나 특정 기업에서는 계좌개설확인서를 요구하기도 하니 상황에 따라 구분해서 발급받아야 해요.
| 항목 | 통장사본 | 계좌개설확인서 |
|---|---|---|
| 포함 정보 | 이름, 계좌번호, 은행명 | 이름, 계좌번호, 개설일, 지점명 |
| 발급 목적 | 일반 제출용, 급여 등록 등 | 공공기관 제출, 입금 출처 확인 등 |
| 모바일 발급 가능 여부 | 대부분 가능 | 일부 은행만 가능, 은행 방문 필요 시 있음 |
스마트폰 없이 통장사본 발급하려면?
혹시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으신 분이라면, 은행 인터넷뱅킹을 통해 출력하거나 은행 창구를 방문해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창구에서는 바로 인쇄된 통장사본이나 계좌 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어요.
모바일 통장사본 제출, 어디까지 인정될까?
요즘은 PDF 파일이나 캡처 이미지도 공식 문서로 인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재택근무나 비대면 계약이 일반화되면서, 스캔된 파일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곳이 늘고 있어요. 다만, 회사나 기관에 따라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사전 확인은 필수입니다.
#모바일뱅킹 #통장사본발급 #인터넷뱅킹없이 #은행업무간편하게 #계좌확인서 #비대면서류제출

0 댓글